무의식의 두 얼굴

분류 전체보기 99

환상의 원인

어떻게 보면 성인 정신분석에서 ‘근본환상’에 접근하는 과정만 잘라낸 것일 수도 있다는 생각들이 들었다. ‘근본환상’은 하나의 시나리오이며, 욕망의 원인의 베일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나지오는 ‘환상의 형성에서 타대상이 어떤 기능’ 을 하고 있는지 이번 강의에서 주요하게 다루고 있다. 타대상은 정신분석을 다른 과 구별하는데 있어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았다. 타대상은 정신분석실천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가? 분석가 담화에서 분석가는 대상a의 위치를 차지함으로써 빗금친 주체에게 ‘지식을 생산하기’를 요구한다. 그 지식은 주체가 생산하는 새로운 주인기표 S1이다. 대상a는 내담자의 욕망의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욕망의 원인이 되는 분석가는 내담자의 이자관계로서의 욕망의..

cartel 2023.05.31

라깡과 정치

무능에서 불가능으로 바디우는 정신분석에서 “치료란 하나의 형식을 전제하는 동시에 그것을 가로지르는 행위”라고 정의한다. 그 하나의 형식은 ‘무의식의 객관적인 구조’이며, ‘치료란 그 구조들의 연관되면서 그것을 재단하고 조각내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무의식의 객관적인 구조란 무의식이 언어로 구조되어있다는 전제 아래 분석주체의 구조를 시니피앙의 분석과정으로 생각된다. 무의식의 분석은 일반적인 치료의 목표인 ‘회복’은 아니다. 바디우는 분석의 목표가 “주체가 다시 스스로를 일으켜서 새로이 살 수 있는 실재의 지점”에 도달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분석과정을 통해 상징계와 상상계의 직조된 현실을 마주하게 되면, 자신의 한계라고 생각했던 것 역시 대타자의 욕망의 산물임을 알게 된다. 그것이 바로 가로 지르는 행위에 ..

cartel 2023.05.31

질투의 뿌리

타자의 주이상스 그녀가 정신분석가에게 찾아갔었던 이유 중에 하나는 질투 망상이였다. 그것이 어떻게 촉발했는지 그 기원을 찾아서 아주 오랫동안 이야기를 했던 것 같다. 정신분석가를 찾아오기전 그녀가 매달렸던 환상은 파트너의 욕망의 대상이 다른 여자이고, 그 욕망은 무의식적 욕망이기에 통제할 수 없는 것으로 생각했다. 의식적으로 아무리 파트너가 아니라고 말을 해도 그 말을 믿을 수가 없었고, 그녀는 철저히 속아왔다는 생각에 시달리다가 '이러한 망상이 망상이 아니라 진실이라면' 자신은 정상일 것이므로, 그녀는 진실을 파헤쳐 자신이 정상인지 망상병 환자인지 알기 위해 모든 노력을 쏟았다. 그녀는 할 수 있다면 탐정이라도 고용해서 그의 모든 뒤를 밟아서 자신이 옳았음을 증명하기만 한다면 만족할 것 같다. 더 이상..

cartel 2023.05.25

공백, 非의미의 사수

환상의 횡단 속에서 마주치는 공백 우리는 주이상스를 상실했다와 함께 주이상스를 억압하기 위해 인간은 문명을 발전시켰다는 가정은 라깡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의 대전제로 간주된다. 그러나 억압된 주이상스는 결코 사라지지 않고 다시 돌아온다. 어떻게 그것이 회귀하는가. 주이상스의 회귀는 우리 삶 속에 구멍을 통해 드러난다. 대표적으로 '증상' 이 그러하다. 정신분석과정에서 우리는 증상을 구성해내면서 그 의미를 파악하는데 골몰한다. 기존의 담화로는 설명되지 않는 그 구멍을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지 새로운 의미가 분출될 때까지 내담자는 말을 해야 한다. 라깡 정신분석이 기존의 상담과 다른 지점은 바로 그 지점이다. 그 구멍을 기존의 지식으로 봉합하지 않는다. 내담자의 고리타분한 서사가 끝이 나면, 기존의 언어가 들..

cartel 2023.05.07

대타자의 부흥

대타자의 부흥 라깡은 성도착의 구조를 한마디로 말하면 '대타자의 부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죽은 대타자를 살려내는 부흥의 가공을 통한 주이상스의 소환이 도착증자가 목적하는 바이다 . 도착증자가 부흥 시키려는 대타자는 상징계 대타자가 아니라, 거세이전의 빗금없는 대타자A이다. 언어의 거세이전 다형적 충동의 세계에서 유아의 신체는 쾌락이 전부인 신체이다. 아이는 어머니의 주이상스의 대상이고, 이 팔루스와 아이는 자신을 동일시 한다. 이들 사이에 아버지의 개입으로 아이는 더 이상 어머니와 아기는 서로를 쾌락하기를 멈추어야 한다. 어머니는 아이를 세상에 내보내야 하고, 아이는 법대로 살아가야 한다는 것을 일방적으로 배우게 된다. 그 어머니 대타자도 아버지의 법을 받아들이면서 거세된다. 죽은 대타자가 되는..

대타자의 복화술

대타자는 말을 하고 충동은 행위(acting out)를 한다. 말과 행위의 부딪힘. 알 수 없는 반복적 힘에 대해 의구심을 갖는 순간. 그 부딪힘의 순간이 어쩌면 무의식 주체의 순간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끊임없는 기표연쇄는 즉, 생각은 대타자의 말이라고 생각된다. 그 어떤 말도 새로운 말이 없기 때문이다. 대타자가 부여한 의미에 따라 우리는 말할 뿐이다. 대타자가 언어의 외피를 가진 일종의 환상이라면 충동은 언어를 무시한채 주체를 압박하는 힘이다. 대타자와 충동 두 측면 모두 외부의 소산이다. 대타자에 의한 거세와 충동에 의한 반복 이 두 가지로 인해 인간 주체는 소외당한다. 그러나 충동은 대타자의 결여를 공격하면서 주체를 잠금 해제시킨다. 나는 타자가 아니라, 몸을 가진 실재라는 비명으로 존재감을 드러..

불안을 욕망하는 사람 히스테리 (나지오)

나지오에 따르면 히스테리는 타자와 맺는 병든 관계를 일컫는다. 히스테리자는 신체적 증상, 관계적 증상을 그 특징으로 삼고 있다. 신체적 증상은 여러가지이다. 통증, 마비, 혐오감, 기억상실, 불면 등이며, 관계적 증상은 타자와 맺는 병든 관계를 의미한다. 히스테리자는 세가지 자아의 단계를 겪는데, 첫번째 자아는 '불만에 찬 자아'이다. 히스테리자는 불평불만을 함으로 써 자신의 불안감을 억누른다. 두번째 자아는 '성적환상의 자아'이다. 분석경험 속에서 환자는 분석가의 모든 것을 성적인 것으로 변환시켜 분석실은 성적인 장소가 된다. 여기서 성적인 것은 성욕이 아니라, 유아기의 느꼈던 성충동의 반복에 가깝다. 세번째 자아는 '슬픈 자아'로 존재의 진실을 마주한 자아이다. 주관적인 히스테리의 자아는 그가 여자인..

시니피앙이 환상한다

나지오는 ‘환상의 형성에서 타대상이 어떤 기능’하고 있는지 이번 강의에서 주요하게 다루고 있다. 타대상은 정신분석을 다른 과 구별하는데 있어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았다. 타대상은 정신분석실천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가? 분석가 담화에서 분석가는 대상a의 위치를 차지함으로써 빗금친 주체에게 ‘지식을 생산하기’를 요구한다. 그 지식은 주체가 생산하는 새로운 주인기표 S1이다. 대상a는 내담자의 욕망의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욕망의 원인이 되는 분석가는 내담자의 이자관계로서의 욕망의 대상이 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대상a로써의 분석가는 어떻게 내담자의 욕망의 원인의 자리를 차지 할 수 있을 것인가? 대상a가 내담자의 무의식에 분석가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인가? ..

cartel 2023.03.01

구조주의적 인과성의 이론 혹은 중증결정의 논리

구조주의란 1960년대 프랑스 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C. Lévi-Strauss)가 소쉬르(F. de Saussure)의 구조 언어학을 응용하여 체계화한 지적 경향. 문화적 현상과 활동 등을 내적 상호 작용의 자족적(自足的)이고 자기 결정적인 구조로 이루어진 의미 체계로 파악함. 구조는 서로 교환 가능한 요소로 성립되는데, 인간은 그 요소의 하나로서만 간주되며 역사·종교의 개념도 거의 무시됨. 문학에서는, 작품을 그 속의 여러 요소들의 상호 관계로서 조직된 구조로 보는 방법을 가리킴. - 구조주의는 소쉬르의 언어학적 업적에 기원을 두고 있다. 이 이론은 언어language를 그 각각의 요소가 다른 요소들과 등가관계나 대립관계를 통해 비로소 정의되는 시스템으로 이해한다. 이러한 여러 관계의 집합이 '구조'..

카테고리 없음 2023.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