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의식의 두 얼굴

프로이트 3

압축과 전치를 사용한 무의식의 풍경

프로이트는 꿈에서 압축과 전치를 사용하여 무의식의 과정을 드러낸다고 보았다. 이 이론에 입각하여 나의 꿈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가장 최근에 꾼 꿈이다. 한달이 채 되지 않았다. 친구네 집에 갔다. 오랫동안 만나지 않은 친구네 집이다. 친구네 집에서 올려다본 천장에 큰 물고기. 사람만큼 큰 물고기가 머리위에서 왔다갔다 했다. 한 5마리 쯤 되려나. 나는 어떻게 천장에 물고기가 헤엄치고 있는가 했는데, 사람인 우리도 물 속에서 자연스럽게 숨을 쉬고 있었다. " 물에서도 숨을 쉴 수가 있지." 마치 그 사실을 잊었다가 생각이 난듯 친구에게 말했다. 거실과 방에 유유히 큰 물고기가 떠다닌다. 물고기꿈 이후에 또 하나의 꿈을 꾸었다. 나는 아버지를 모시고 들판을 걷는다. (아버지는 전맹이다) 아버지는 검은모자를..

프로이트 2023.09.12

방어과정에서 나타난 자아의 분열(1938)

절편음란증의 속편으로 간주되는 이 논문은 프로이트가 성도착이 왜 부인의 구조로 되어 있는가를 엿볼 수 있는 논문으로 생각된다. 프로이트의 소년이 거세 위협에 따른 두 가지 태도는 을 가지고 온다고 보았다. 코 위의 광택 먼저 에서도 볼 수 있다. 자신이 거부하고 있는 거세를 스스로 실행하고 싶은 욕구 = 여성이 아직도 남근을 가지고 있다(부인) + 아버지가 여성을 거세했다는 것(인정) 이다. 프로이트는 실제적 위험에 맞서서 두 가지 태도가 있을 수 있다고 가정했다. 실제적 위험을 인식하고 굴복하는 길과 그런 위험은 없다고 부인하는 길이다. 본능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우리에게 만족을 주는 어떤 경험이 실제적 위험에 처하게 되면 우리는 그 본능의 요구와 현실의 금지 그 둘 중 어느 것도 택하지 않거나 양쪽 ..

프로이트 2023.08.24

정신분석과 과학 (프로이트 패러다임 밑줄 긋기)

프로이트가 위대하다면, 과학이 만들어내는 지식들, 인간을 하나의 대상의 접근하면서 인간에 대해 밝혀낸 지식들은 우리가 인간에 대해 더 많이 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었지만, 우리 자신의 주체로서의 삶이라는 수준에서 볼 때 우리의 내면을 바꾸지 못한다. 심지어 대상으로서의 인간에 대한 지식, 요컨대 객관적 지식들은 프로이트 이전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나'를 지키기 위한 하나의 방어기제로서 기능하는 경우가 적지않다. 인간에 대한 지식. 객관적 지식은 인간의 방어기제. 무엇으로부터의 방어기제 인가. 여전히 우리는 우리 자신의 삶 속의 분열에 대해서는 알고 싶어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과학의 발달에 의해 이뤄진 지식의 확장은 역설적이게도 더 많은 정신적인 나르시시즘을 생산해 낸다. 그리고 바로 그러한 나르시시..

프로이트 2023.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