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의식의 두 얼굴

2025/04 3

분석의 끝은 있는가?

나의 분석은 실패인가? 성공인가?  프로이트는 「끝낼 수 있는 분석과 끝낼 수 없는 분석」이라는 논문에서 분석의 자연스러운 끝은 있는가? 묻는다. 나의 분석의 종결은 더없이 댕강 잘린 두부 같았다. 뭐랄까.. 어정쩡하고 담백한 끝이였다. 라캉은 분석의 끝에서 ‘환멸’을 예고하기도 했다. 나는 마지막 꿈에서 분석가의 모습이 전혀 다른 사람으로 나오는 꿈을 꾸었다. 경악했지만, 그러려니 한다. 프로이트는 분석의 끝이라는 것은 ‘환자가 더 이상 증상으로 괴로워 하지 않으며, 억압된 것이 충분히 의식화 되어 병리적으로 발전하지 않는 것’, 다른 의미로는 분석의 끝은 ‘다른 증상으로 대체되지 않는 증상의 소멸’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자아의 변형보다 외상에 의한 경우가 더 많이 성공한다. 프로이트는 인간이 기질적..

대학원 담화 2025.04.08

정신분석의 계몽

앙상한 오해   “대중들의 기억 용량은 그리 크지 않으며 그들은 어떤 주장에 대해 앙상한 뼈대만 기억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그것을 극단적인 형태로 만듭니다. ” 프로이트는 그가 모든 것을 성적인 것으로 환원한다는 시대의 오해에 대해 해명하고자 한다. 이 말은 모든 것을 우리가 이해차원에서 받아들일 때 저지르는 실수 이기도 하다. 우리는 뭔가 기억하기 위해 우리는 압축시키고, 구조화 시키면서 자신의 것으로 체화하려고 한다. 물론 이 작업도 공부나 연구를 하는데 있어서는 쉽지 않지만, 이것은 대중이 어떤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방식이기도 하다. 대중은 타자의 말을 극단적으로 주어와 술어만 기억하며 입장을 취한다. 하나하나 따져서 물을 생각도, 시간도 없다. 모든 대중이 그런 것은 아니겠지만 말이다. 대중은 프로이..

대학원 담화 2025.04.01